profile image

L o a d i n g . . .

반응형

 

주요국의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DLS에 투자한 파생결합펀드(DLF)가 

대규모 원금손실 위기에 처했다. 

 

금리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금리의 상승을 예상했었던것 같다.

 

DLF 판매액은 1조원에 달한다. 

석유, 금, 은 등을 기초로 한 DLS 등도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미국·영국·독일 등 

주요국 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DLS)를 기초자산으로 삼은 

DLF에서 50~100% 평가손실이 발생한 가운데 

금감원이 이르면 이번주 고강도 검사에 나서기로 했다


실태조사 결과 금융권의 DLF 판매액은 약 1조원이다. 

1조원, 가늠이 되지 않는 금액이다.

 

법인도 있지만 개인투자자가 90%로 36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투자금은 2억정도 되는것 같다.

 

 


금감원은 논란이 되고 있는 불완전판매 여부 뿐 아니라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상품구조에 문제는 없는지 등 상품 개발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을 들여다 볼 계획이다.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도 검사 대상이지만 

검사는 프라이빗뱅크(PB)를 통해 사모형식으로 판매한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두 은행이 판매한 DLF만 8000억원에 이르고 

하나은행 상품은 현재 50%, 

우리은행 상품은 100% 평가손실이 발생한 상황이다. 

 

금감원은 은행이 고위험 상품인 DLF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무리하게 영업 '드라이브'를 걸지 않았는지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분조위는 50% 배상을 권고했지만 

법원 소송에서 배상률이 70%로 늘어났다. 

 

이번 DLF분쟁도 50% 배상 권고가 내려지면 금융권이 

5000억원 배상금 부담을 떠 안아야 한다. 

 

다만 파워인컴펀드는 은행 창구에서 판매된 공모펀드고 

DLF는 PB를 통해 판매된 사모형 상품이라는 점에서 배상비율을 속단하기 어렵다.

 

최근 원금 손실로 논란이 되고 있는 파생결합증권(DLS)사태와

관련해 '은행이 고위험 파생금융상품을 팔게 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남의돈으로 투자하고, 수익나면 나눠 가지고, 손해가 나면 투자자만 손해보는 구조.

키코피해공동대책위원회는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DLS와 같은 고위험 파생상품을 시중은행들이 수익을 위해 파는 것은

금융자본의 탐욕'이라며 '엄격한 금융규제'를 촉구했다.

반응형
복사했습니다!